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은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 사업주와 근로자의 사회보험료(고용보험·국민연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보험료의 80%를 지원하는 제도예요.
두루누리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별도 신청 절차가 필요하지만, 세무대리인을 이용하고 계신 경우에는 세무대리인이 직접 대상 여부 확인 후 지원금을 신청해드려요. 즉, 사업장에서 별도로 요청하지 않아도 알아서 처리된다는 뜻이에요. (다만 급여 신고 등을 직접 하시는 경우에는 누락되는 사례가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시는 게 좋아요.)
또한 두루누리는 ‘소규모 사업장’만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이므로, 인원 수 증가 등으로 지원 기준을 벗어나게 되면 그 즉시 지원이 중단되면서 사회보험료 부담이 늘어날 수 있어요. 따라서 사업장 규모 변동이 있을 때에는 두루누리 적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시는 게 좋아요.
누가 지원받나요?
두루누리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근로자 수, 근로자 평균보수, 과거가입 이력 이 세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해요.
근로자 수: 근로자 수가 10명 미만인 사업장 (전년도 월평균 근로자 수와 현재 인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
근로자: 월평균 보수 270만 원 미만인 근로자
가입 이력: 신청일 기준 직전 1년간 고용보험·국민연금 가입 이력이 없는 신규 가입자
얼마나 지원받나요?
사업주와 근로자가 부담하는 고용보험·국민연금 보험료의 80%를 국가가 지원해요.
대상 | 고용보험 | 국민연금 | 최대 지원 금액 (월) |
|---|---|---|---|
사업주 | 21,160원 | 82,800원 | 약 103,960원 |
근로자 | 16,560원 | 82,800원 | 약 99,360원 |
지원금 누락 방지를 위한 2가지 실무 팁
세무대리인이 없다면 다음 두 가지 사항을 사업주가 직접 관리해야 해요.
1) 보험료는 ‘기한 내 완납’ 필수
두루누리 지원금은 현금 지급이 아닌 '선납 후 차감' 방식이에요. 사업주가 당월 보험료를 법정 기한 내에 완납해야만, 익월 고지서에서 지원금만큼 차감된 금액이 청구돼요. 미납 시 해당 월의 지원금은 소멸하므로 자동이체 등을 통해 연체를 방지해야 해요.
2) 채용 즉시 ‘4대보험 취득신고’ 진행
직원 채용 시 바로 4대보험 자격취득신고, 보수총액신고를 진행해야 해요. 신고가 지연될 경우, 신고 이전 기간에 대한 지원금은 소멸해요. 채용과 동시에 신고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에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지원금은 별도로 입금되나요?
아니요, 별도 현금은 입금되지 않아요. 월별 보험료를 완납했는지 확인한 후, 다음 달 보험료에서 해당 월의 지원금을 뺀 나머지 금액을 청구하는 방식으로 지원돼요. 즉, 납부 할 보험료를 할인받는 식이에요.
Q2. 매년 다시 신청해야 하나요?
일반적으로는 자동 연장돼요. 한번 승인되면 해당 연도 말까지 지원되고, 다음 연도에도 요건을 충족할 경우 별도 신청 절차 없이 지원이 유지돼요.
Q3. 신청을 늦게 했는데, 지난달 보험료도 지원받나요?
아니요,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지원돼요. 따라서 채용 후 신고가 늦어지면 그 기간만큼의 지원금을 잃게 되므로 늦지 않게 주의하세요.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근로자 수 산정의 세부 기준, 일용근로자 지원 특례 등 세부 요건은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 공식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 사이트 바로가기
상세 문의: 근로복지공단(1588-0075), 국민연금공단(1355)
다른 가이드 살펴보기
결과가 없습니다.


